초전공원의 반영(反影)

사남 아파트 단지 옆에 있는 초전공원은 한여름의 연꽃 밭도 아름답지만, 이른 봄날 못 속에 비치는 반영은 아름다움을 넘어 신비로움까지 더해 준다.
특히, 해 질 무렵이 되면 마치 다른 세상에 와 있는 듯한 착각마저 들게 할 만큼 황홀경이다.

 

세상은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.
빙산의 일각처럼 보이지 않는 이면(裏面)이 더 복잡 미묘하다.

못 속에는 온갖 형상이 살아 있다.

우리들 마음속에는 사랑과 집착, 미움과 분노, 행복과 불행, 시기와 질투, 참과 거짓, 탐욕과 어리석음, 기쁨과 슬픔 등 온갖 욕망이 꿈틀대고 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무릇 형상 있는 것은 때가 되면 사라진다.
필 때가 있으면 질 때가 있고, 생성할 때가 있으면 소멸할 때가 있다.
영원하지 않기에 덧없다. 그래서 붙잡을 것이 없다.
그러하기에 슬프면서도 아름답다.

 

새들도 해가 지면 둥지를 찾아 깃들고, 길 위에서 지친 나그네는 안식처를 찾아 돌아간다.

 

어둠이 호수에 내려 앉으면 깊이를 알 수 없는 심연(深淵) 속에서 들려오는 무수한 생명의 소리들.
은밀하게 나는 그들과 만난다.

 

초전공원의 일몰 풍경은 우리를 겸허하게 해 준다.
혜안(慧眼)으로 사물의 진실을 보라고 한다.
삼라만상이 생각과 느낌에서 일어나는 허상(虛像)임을 알라고 한다.
허허로운 가슴으로 살라고 한다.

우리는 지상에서 그림자놀이를 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(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)
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(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)

​ 드러난 모든 현상은 꿈과 같고, 환영과 같고, 거품과 같고, 그림자와 같고, 이슬과 같고, 또한 번개와 같다.
그러므로 마땅히 이와 같이 알아차려야 한다.​ [출처] 금강경 4구게

다른 글 읽기

최근글 읽기